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MVP 과정이 필요한가? MVP 를 통해 가격은 어떻게 정하는 것인가?

운동을 통한 신체적 건강_디지털헬스케어

by 고려건강 2022. 9. 15. 06:55

본문

MVP (mivimal valuable product) 최소 가치 제품 = 최소한의 기능을 가지고 작동하는 제품이라는 뜻이다.

비즈니스모델과 사업계획서 작성 분야의 여러 강사님들의 강의를 들으며, 겹치는 내용이 있음을 알았다.

바로 첫 부분에 우리나라의 스타트업 생존율이다. 다른 포스팅에서 수치를 올렸지만, 한국 스타트업의 생존율은 유럽 및 기타 국가와 비교하여 낮은 편이다. 따라서, 제품을 만들거나(제조업) 서비스를 시작하기(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전에, MVP를 통한 고객반응을 꼭 살피는 과정이 필요하다.

MVP = 나와 가족의 생존,,,, (쫄딱 망하지 않게 해주는 범퍼, 우리나라는 망한 뒤 회생 책임을 개인에게 넘기므로 중요)

MVP 제작 및 검증은 제기본적으로 내가 최종적인 제품을 만들기 전에 사람들이 원하는 제품인지, 돈을 주고도 충분히 소유할 마음이 있는지 없는지 알아보는 과정을 의미한다. 처음부터 팔리는 물건과 서비스를 만들자가 목표란 생각이 든다. 바이오와 하이테크 제품들은 처음부터 높은 질의 물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하지만, 그러려면 돈이 많이 든다. 낮은 제품의 질과 목업 2종을 이용해서 고객의 만족도를 검사히고 구매 의사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나는 제조업이므로, MVP를 이용한 가격 결정은 다음의 기준을 참고해야 한다.

# 기존의 가격 결정 원칙: 원가, 경쟁자, 고객

# MVP 가격 결정

1. 도출한 문제를 해결한 나의 제품과 서비스가 고객에게 가치를 제공하는가?

: 높은 가치를 줄 수록 가격이 비싸질 수 있다. (가족의 사랑????)

2. 고객은 우리의 제품과 서비스에 돈을 지불할 의향이 어느 정도있는가?

: 필수품인가...의.식.주, 생명, 죽음, 성 .......

3. 원가기반, 경쟁자 기반(벤치마킹 프라이싱), 고객기반(value based pricing) 중 어느 것을 따를 것인가? 이 중 가장 좋은 것은 고객에게 가치를 주는 고객기반 가격 결정이다.

: 원가는 과격을 결정하는 변수가 아니다. 고객에게 주는 가치가 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변수다.

: 대체재의 가격을 이해해야 한다 → 경쟁자료수집과 분석이 필요하고 중요한 이유이다.

: 수익 극대화를 위해 가격 차별화전략이 필요하다 → 할인 쿠폰, 프로모션 제공

: 고객은 구매 시기에 따라 5개 범주로 분류 가능하다. 초기 시범 고객과 등대고객에게는 탄력적인 가격 체계적용할 필요가 있다. (캐즘 마케팅 혹은 가트너의 죽음의 계곡은 같은 시기에 올 수 있고, 이 시기를 가격조정으로 최대한 줄인다)

: 가격을 처음부터 낮게 책정하지 마라. 적정가 이상을 책정한 후 할인정책을 통해 가격을 조정하는 전략을 사용해라.

 

# 시장 반응이 없는 경우

(최소 이익 단위) - 경쟁업체와 유사한 가격책정 - 쿠폰, 할인 프로모션을 제공, 원가 절감 요인을 반영 →  제품 피봇팅

의 가격 책정과 방법을 따를 수 있다.

 

 

관련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