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이용하기

본문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 공급하는 기업에서의 직무 경험이 전무하니 사업계획서 작성 중 항상 시장분석이 어렵다. 구글에서 검색 식을 조합해서 검색해도 요근래 바이럴 페이지 결과가 많아 정확한 자료를 찾기 어려워 시간을 허비한다. 계속 자료를 찾다 보면 눈에 익은 바이럴 도메인들이 반복적으로 노출되므로, 이제는 클릭조차 하지 않는다

  시장 분석 자료는 신뢰도 높은 기관의 자료를 인용해야 한다. 심사위원이시기도 한 멘토분들은 중소벤처기업부 전략기술로드맵 분류에 내가 생각한 아이디어가 포함된다면 이 자료의 내용을 인용하는 것이 신뢰성을 높일 수 있어 좋다고 하셨다.

창업성공요인 중 하나인 트렌드!! 트렌드에 적합한 제품, 기술, 아이템일수록 투자유치 및 자금조달 가능성이 높아진다. 트렌드에 뒤쳐질 경우 자금조달이 어려워져 사업초기 난항을 겪을 가능성이 높다. 다만 트렌드를 너무 앞서가면 시장이 형성되지 않아서 매출이 일어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니 주의하자.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은 무엇인지, 어떤 의미인지 간략하게 알아보자.

1. 중소기업 전략기술로드맵

정의: 대기업에 비해 연구개발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기술역량 강화를 위해 유망기술 신성장 아이템 제시 및 중소기업 미래 먹거리 발굴, 전략적이고 지속적인 미래기술개발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는 것

- 정부의 중소기업 육성정책과 기술의 미래성장 방향성을 고려해 타 부처 기술로드맵과 달리 중소기업의 수요조사 및 공급망 분석 등을 통해 중소기업 맞춤형 단기(3년 이내) 상용화 기술로드맵 수립

- 기술시장 동향 및 중소기업 실태 분석과 미래 예측을 통해 중소기업 기술개발 방향 제시

-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의 전략적 투자방향 및 투자 시스템의 효율성 개선, 중소기업 기술로드맵과 R&D 사업의 연계 강화

- 유망기술분야별 선진국 대비 우리나라 중소기업의 기술경쟁력 분석 추진

- 중소기업 접근성을 고려한 온라인 기술로드맵 시스템 고도화

 

2. 기술로드맵 활용

- 중소기업 R&D 목표전략수요기술발전 방향 등에 대한 일치된 정보 및 방향성을 공유함으로써 R&D 추진의 효율성 제고에 기여

- 중소기업 수준에 맞는 기술개발 목표를 제시함으로써 기술개발 및 사업화 성공률 제고

- 글로벌 전략기술개발 사업, 혁신기업기술개발사업, 융복합기술개발사업, 시장창출형창조 기술개발사업 등 중기부 R&D 사업에 직접 활용

- 결과물의 온라인 게시, 이메일 서비스 및 온라인 로드맵 시스템 제공을 통해 중소기업에게 새로운 도전 및 기회 조기포착을 위한 발판 제시

 

3. 중소기업 기술로드맵 필요성

중소기업들에게 미래 유망 기술에 대한 R&D 이정표 제시,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의 전략 방향 제시를 통해 효율성 제고, 중소기업 육성을 목적으로 중소기업 분포와 역량을 고려하여 요소 기술 단위의 중소기업형 기술로드맵 수립 목적

- 중소기업 현장

: 대기업 연구소에 비해 상대적으로 기획 역량이 부족한 중소기업들에게 해당기술분야에 대한 기술 트랜드시장현황특허정보무역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매년 제공함으로써 중소

기업의 R&D 역량 강화

- 중소기업 정책연계

: 중소벤처기업부 R&D 사업 중 중소기업을 글로벌 강소기업으로의 성장을 목적으로 하는 선택과 집중사업의 차년도 과제 발굴 및 사업신청 시 로드맵 결과물 활용

- 환경변화 대응

: 중소기업 기술로드맵은 중소기업 현황에 기반한 R&D 전략을 제시하는 바, 국내 중소기업 생존율이 단기적으로 급변하는 상황을 적시에 반영하고, 중소기업은 현 시점 대비 1년 전후의 단기간 상용화 하기 위한 R&D에 집중

 

4. 기술로드맵 대분류

링크: http://smroadmap.smtech.go.kr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다음과 같이 볼 수 있다. 매년 1월 중기부에서 향후 3개년도 중소기업 국가개발전략지원 품목 및 지원방향을 공표하며 시장 정보 및 신기술 동향으로 매우 유용하다.

 

디지털 전환의 서비스 플랫폼을 클릭하면

통합보고서 PDF 파일을 다운받을 수도 있고, 각 분야의 보고서를 다운받을 수도 있다.

디지털헬스케어/의료기기 분야는 아래 그림과 같다.

5. 기술로드맵 분야 및 전략품목

아래 표는 대분류/전략분야/177개가 넘는 전략품목을 표로 작성한 것이다. 필자의 경우 디지털 전환/서비스플랫폼/피트니스제품서비스플랫폼 품목과 사회안전망구축/디지털헬스케어의료기기/친고령화재활시스템 품목 모두 해당되기 때문에 지원하는 사업 주관기관에 따라 전략품목을 변경해야 했음에도 엉뚱한 자료들만 찾아 헤맸다. Cntl+f 로 검색하거나 가볍게 읽으면서 내 아이템이 어느 품목에 해당하는지 흝어보길 바란다.

본인이 생각한 제품이나 서비스가 1가지 이상의 전략품목에 포함될 수 있으므로, 선발 확률이 높은 전략품목 분야의 로드맵을 인용하면 좋겠다.

사업계획서나 IR 자료에 넣을 최소 2개년도 동안 개발하고자 하는 최종기술개발에 대한 목표를 수립하고 기술에 대한 구체화 설명 시 참고하자.

대분류 전략분야 전략품목
디지털전환 AI빅데이터 AI 기반 교육서비스
자가학습 기반 AI 솔루션
AutoML 솔루션
공간정보분서거 및 공간빅데이터 융복합 솔루션
AI 소재 설계 시스템
Edge-Device 기반 실시간 지능 플랫폼
학습 데이터 증식 및 오류방지 솔루션
빅데이터 기반 마켓 인텔리전스 플랫폼
Robotics Process Automation(RPA) System
차세대
이동통신
특화망 관련 시스템 및 장비
5G 오픈랜 장비
5G SA 스몰셀 기지국 및 관련장치
5G 프론트홀, 백홀
5G RF 모듈
사이버보안 개인정보 비식별 솔루션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컨텐츠 관리 플랫폼
블록체인 기반 데이터 통합관리시스템
지능형 사이버 위협 보안관리 솔루션
공급망 보안 취약점 자동진단 솔루션
디지털콘텐츠 AI 기반 시각 인식 및 생선 솔루션
AI 기반 리소스제작 솔루션
디지털 휴먼
AR/VR/XR 웨어러블 디바이스
교육용(훈련) 메타버스 플랫폼
실시간 인터렉션 플랫폼
서비스플랫폼 메타버스 기반 실시간 문화 중계 플랫폼
공공 IoT 디바이스 플랫폼
디지털 업무공간(DWP) 플랫폼
피트니스 제품 서비스 플랫폼
비대면 교육 플랫폼
전문인력 연계지원 서비스 플랫폼
환경에너지
혁신
신재생에너지 태양광모듈 재활용 시스템
수소 연료전지 시스템
분산전원 연계 태양광 운영플랫폼
고효율 수소생산 시스템
고효율 태양광발전 모듈 및 장치
건물일체형 태양광발전 시스템
중소형 수소 액화/액상 저장 시스템
고효율 소형 풍력발전 시스템
CCUS CO중소형 포집 시스템
CO화학 전환 시스템
CO광물 탄산화 시스템
탄소 모니터링 플랫폼
자원순환 및 에너지 재활용 폐배터리 재활용 시스템
화학제품 재활용 공정 및 제품
자동차 및 산업기계 재제조 부품
연료전지 폐열 활용 발전시스템
희소금속 회수 시스템
공장 폐열회수 및 재활용 시스템
섹터커플링 (V2G) Vehicle-to-Grid
가상발전소 플랫폼
(P2G) Power to Hydrogen
(P2G) Power to Methane
미래혁신선도 지능형로봇 지능형 물류/배송 로봇
지능형 농업 로봇
지능형 살균/방역 로봇
지능형 가정용 로봇
행동보조용 웨어러블 로봇
환자 보조 로봇
시스템반도체 전력반도체
모터구동용 시스템반도체
시스템반도체 설계 IP
섀시제어 차량용 반도체
자율주행 차량용 반도체
보안 솔루션, 스마트카드 IC
우주항공 접촉식 무인이동체 충전 시스템
모니터링 드론
항공전자 및 부품
운송/배달 드론
저고도 무인비행체 교통관리 시스템
UAM 및 부품
자율주행차 자율 주행 평가-개발 시스템
자율주행 판단 시스템
자율주행 인지 시스템
자율주행차 상태 기록 시스템
스마트자율협력 주행 도로시스템
미래형 선박 오염물질 배출 저감장치
중소형 선박 원격 통합 통신 시스템
중소형 선박 안전 항해 지원 서비스
LNG 선박용 기자재
전기추진 선박 기자재
바이오 약물전달시스템
동물/미생물 세포배양 시스템
분자/면역 진단 시스템
생체유래 물질 감지 및 분석 시스템
기능성 화장품
전기수소차 열관리시스템
전력변환시스템
배터리 시스템
배터리 교체 및 운용시스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
수소자동차 충전시스템
이차전지 바인더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Reuse)
이차전지 제조장비 및 측정 장치
전해질 첨가제
사회안전망
구축
재난/안전 재난안전 교육 컨텐츠
개인형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산업용 안전관리 모니터링 시스템
유해물질 모니터링 시스템
디지털트윈 기반 통합관제 시스템
스마트시티 스마트미터
스마트 모빌리티 교통 정보 시스템
에너지 최적화 빌딩 관리 시스템
이상기후 대응 도시안전 시스템
차세대 물관리 시스템
스마트홈 IoT 반려동물 케어시스템
홈기반 스마트식물 재배시스템
실내 공기 스마트정화 시스템
스마트홈 에너지관리 시스템
지능형 홈 IoT 컨트롤 시스템
IoT용 스마트홈 센서
스마트홈 위험상황 대응장치
디지털
헬스케어/
의료기기
인공지능 의료기기
디지털 치료기기
전자약
모바일 및 웨어러블 헬스케어 시스템
데이터 기반 개인 건강관리 시스템
고령친화/재활 시스템
기능성 식품 케어 푸드
가정간편식 제품(HMR)
건강기능성 식품
대체육
성장동력
고도화
유기/
복합소재
고기능 필름/코팅 소재
기능성 점/접착 소재
센싱소재
부품/공정용 3D 프린팅 소재
환경정화(MOF) 소재
고성능 반도체 패턴용 공정 소재
차량용 고강도 유기/복합 소재
세라믹 광학소재용 세라믹
고기능성 유리
세라믹 패키지
에너지저장/변환용 세라믹
생체용 바이오 세라믹
센싱용 세라믹
금속 소재 및
성형가공
생체용 금속소재
환경 친화형 금속 가공 시스템
고기능성 금속분말
수송용 경량 고강도 금속소재
지능형 금속제조 공정제어 시스템
스마트제조 지능형 애플리케이션
스마트제조용 엣지 컴퓨팅
스마트 설비 관리시스템
스마트물류시스템
스마트 비전 검사 시스템
스마트제조용 디지털 트윈
지능형 공정 제어 솔루션
스마트제조 인간-기계 협업패키지
산업용 지능형 센서
반도체
디스플레이장비
반도체 패키징 장비
반도체 열 특성 분석 시스템
반도체 증착 장비
반도체 검수용 프로브 핀 본딩 시스템
반도체 후공정 측정/검사 장비
반도체 식각 장비
디스플레이 세정 시스템
마이크로 LED디스플레이 마이크로 LED칩의 인터포저 기판 대량 전사 장치
산업용기계 굴삭기용 Attachment
지능형 사출성형 시스템
지능형 정밀 가공 시스템
3D 프린터
고효율 유압 장치
정밀 3D 스캐너
섬유 안전보호 융복합 섬유
디지털 기반 섬유 소재 비즈니스 지원 플랫폼
디지털 매뉴팩처링 기반 섬유 제조 시스템
친환경 가공 섬유 제조 시스템
유해인자 차단 섬유
슈퍼섬유
친환경 섬유
전기전자부품 광통신부품
인쇄회로기판(PCB)
바이오&헬스케어 광전자 부품
PM(Personal Mobility) 전자부품
초고속 광반도체 소자
스마트 방열 부품

 

관련글 더보기